사회성 떨어지는 ‘왕따’ 가해자, 커서도 불행하다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 ‘왕따’문제. 전문가들은 왕따 가해자들의 경우 사회적 관계 형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아이들이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이렇게 청소년기에 사회적 관계 형성이 제대로 되지 못한 아이들은 나이들어 성인이 돼서도 행복감을 느끼기 어렵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호주 디킨대 크레이그 올슨 교수팀은 ‘뉴질랜드 더니든 종합 건강개발연구(Dunedin Multidisciplinary Health and Development Study, DMHD)’에 참여한 804명을 32년간 장기 추적을 통한 연구한 결과 어릴 적 사회적 관계를 잘 맺은 이들은 성인이 돼서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지마느, 학교성적이 좋은 것은 어른이 된 뒤 행복한 삶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행복학 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아동 청소년기에 사회적 관계형성과 청소년기 학업성취도, 언어 발달 등과 성인기 웰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측정했다. 사회적 관계형성은 부모와 교사의 설문조사로 아동 청소년기에 얼마나 혼자 있는 것을 좋아했고, 자신감 수준은 어느 정도였는지를 평가했다. 이와 함께 스포츠 클럽을 비롯해 각종 사교집단에 참여도도 측정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성인기의 행복감과 웰빙이 아동 청소년기에 사회적 관계형성이 얼마나 잘 됐었는가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반면 언어발달 및 조기 언어교육, 청소년기 학업성취도는 성인이 돼서 웰빙이나 사회적·진학 경로와 거의 관계가 없었다.
올슨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장기간 아동 청소년기에 긍정적 사회성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은 교과 과정 개발이나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것만큼 중요하고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그는 “행복감이라는 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평생 변할 수 있고 변화시킬 수 있는 만큼 어린 시절 사회적 관계가 좋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좌절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제일피앤티(제일산업,서울사무소)
전화:02-417-4940 팩스:02-417-4941
직통전화:010-5002-2126
E-mail:jeilpnt4940@hanmail.net